예술작품 비평의 역할은 무엇일까


이건 사실 간단하게 끄적일만한 주제는 아닌데 한 번 써본다.


우리는 예술작품에 대한 비평을 하고 작가의 의도가 무엇일지 생각한다.

그 과정에서 맞는 것도 있고 틀린 것도 있다.


재미있는 사례가 몇 가지 있다.

다음은 수능에 출제된 시의 작가가 직접 문제를 풀고 남긴 소회이다.


==================================================================

최승호(55·숭실대 문예창작과 교수·사진) 시인이 “내가 쓴 시가 나온 대입 문제를 풀어 봤는데 작가인 내가 모두 틀렸다”고 18일 말했다. 그가 풀어 본 문제는 2004년 출제된 수능 모의고사 문제였다. 최씨의 작품 ‘북어’ ‘아마존 수족관’ ‘대설주의보’ 등은 수능 모의고사 등에 단골로 출제돼 왔다. 그는 “작가의 의도를 묻는 문제를 진짜 작가가 모른다면 누가 아는 건지 참 미스터리”라며 쓴소리를 했다. 

==================================================================


사실 이런 이야기는 종종 있어왔다.


수능에 출제된 언어영역 문제를 저자가 직접 풀었는데 틀렸다더라....하는 얘기들.


수능은 객관식 시험이기 때문에 정형화된 해석을 요구한다. 그렇기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혹자는 출제자의 의도가 중요하지 작가의 의도를 묻는 게 아니라고도 한다.

꼭 수능이 틀렸다곤 할 수 없겠지만 사고의 폭을 좁히기를 강요한다는 생각은 든다.


다음은 히치콕의 사례



흥미로운 일이다.


다음은 일본 사례.

===============================================================

작가의 딸이 학교에서 받은 과제 중에서 "'반딧불의 묘' 작가의 당시 심경에 대해서 제출하라." 라는 내용이 있어서 그걸 아버지에게 묻자, 아키유키는 "음, 마감에 치여서 필사적이었다."라고 말했는데 그걸 그대로 제출한 딸이 낙제점을 받았다라는 일화

===============================================================


대학교에서 문학 수업을 들었을 때도 이런 이야기가 오간 적이 있다.

작가의 의도와 비평가들이 생각하는 게 달랐다는 거.


하지만 이런 사례들이 비평가들의 역할을 폄하하지는 못한다고 생각한다.


비평은 비평 그 나름의 역할이 있다.

작품에 대한 해석은 누구나 다를 수 있고 꼭 정해진 것은 아니다.


비평가가 자신의 비평만이 진리이고 다르게 생각하는 건 잘못됐다고 말한다면 그건 문제다.

또 권위있는 비평가를 추종하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해석을 무시한다면 그것도 문제다.


결국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강요한다면 그건 잘못된 것이다.


예술 작품이 수학공식처럼 답이 딱 나오는 것도 아닌데

마치 그런 게 있다는 듯이 얘기하는 건 안 된다.


예술작품에 대해 비평하는 비평가는 독자들에게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도우미 역할을 해야 한다.

난 그게 비평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 Recent posts